본문 바로가기

기획 연재

[알쓸잇(IT)슈] 복잡한 공인인증서 굿바이~ 민간인증서의 개념부터 발급 방법까지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신도리코 블로그입니다. 올해 새롭게 시작될 기획시리즈 <알쓸잇(IT)슈>는 매달 쏟아지는 IT관련 핫 이슈를 선별해 자세히 살펴보는 ‘알고보면 쓸모있는 IT 이슈’ 코너입니다. 오늘은 그 첫번째 시간으로 우리나라 금융 거래의 필수 조건이었던 ‘공인인증서 폐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인인증서가 폐지되다??

 

1999년에 처음 도입된 공인인증서는 온라인 상에서 이뤄지는 각종 거래 및 본인 인증 시 사용하던 전자서명인데요. 지난해 12월 10일 전자서명법 개정안이 시행됨에 따라 21년 만에 막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공인인증서는 많은 불편함을 야기했는데요. 발급받는 과정에서부터 수많은 개인 정보를 입력하고 여러 인증 프로그램들을 설치하는 등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했고 인터넷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은 발급을 위해 직접 은행을 방문해야 했습니다. 또한 PC와 모바일 각각 내보내기/가져오기를 통해 인증서를 별도로 저장해야 하며 다른 금융기관에서 이용하려면 따로 등록 절차를 거쳐야 하는 등 불편함이 한 두개가 아니었죠. 영어, 숫자, 특수문자가 혼합되어야 하는 복잡한 비밀번호 설정은 1년마다 갱신도 해야 했고요.

 

 

때문에 공인인증서 폐지는 많은 분들에게 반가운 소식이었습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완전히 폐지된 것은 아니고 `특정 인증서의 공인화 및 이용 의무화`에 대한 규제가 풀리면서 공인인증서에만 허용됐던 연말정산, 금융거래 등이 민간인증서까지 허용된 것인데요. 앞으로 ‘공동인증서’라는 명칭으로 기존의 공인인증서와 민간인증서를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민간인증서는 무엇인가요?

 

민간인증서는 일반 사기업에서 발행하는 인증서로 보안 카드나 일회용 비밀번호(OTP)없이 간단한 절차만으로도 발급 및 이용이 가능합니다. 기존 공인인증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평균 7단계에 3~5개 프로그램 설치는 물론 소요시간도 5분 이상 걸렸는데요. 민간인증서는 평균 3~5단계에 1개의 앱만 설치하면 1~2분 정도밖에 걸리지 않아 훨씬 수월합니다. 유효기간도 2~3년으로 길기 때문에 편리함까지 갖췄죠.

 

▲ 정부24 연말정산용 주민등록등본 발급 전용창구 (출처:  정부24 )

 

이번 제도 개편으로 카카오, 통신사 3사의 패스PASS, 한국정보인증(삼성PASS), KB국민은행, NHN페이코 등 5개 업체가 시범사업자로 선정돼 서비스를 실시하게 됐는데요. 행정안전부는 1월 13일부터 연말정산용 주민등록등본 발급 서비스에 민간 전자서명을 적용하고 3월 말에는 ’정부24‘ 전체 서비스에 전면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국세청도 오늘(15일)부터 민간 전자서명을 적용한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홈택스’ 홈페이지(누리집)에 개설했죠. 로그인부터 복잡했던 연말정산을 올해부터는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민간인증서 발급

 

▲ 왼쪽부터 카카오, 페이코, PASS

 

앞서 언급했듯이 현재 다양한 기업에서 민간인증서를 선보이고 있는데요. 이 중 각자의 취향대로 자주 사용하는 어플의 인증서를 골라 사용하면 됩니다. 발급방법도 매우 간단한데요. 대표적으로 몇 가지를 살펴보면 먼저 카카오는 카카오톡 어플의 페이 카테고리에 들어가면 메뉴의 ‘인증’에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페이코 인증서는 앱 내 '더보기' 탭에 위치한 인증서를 선택한 다음 본인 명의 휴대폰 정보로 본인 확인을 마치고 본인 인증에 사용할 패턴 또는 지문을 등록하면 되고요. PASS는 앱을 다운받고 실행하는 동시에 휴대폰 번호로 간단한 본인 인증을 마치면 인증서 발급이 바로 완료됩니다.

 

 

민간인증서 장점

 

민간인증서의 가장 큰 장점은 간편하다는 것입니다. 별도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 없이 간단한 본인 인증으로 발급이 완료되고 복잡한 비밀번호 대신 지문, 생체 인증, 패턴, 비밀번호(4~6자리의 숫자) 등록도 가능하죠. 휴대폰이나 PC, USB 등 별도 저장 공간이 필요했던 공인인증서와 달리 저장 없이도 사용 가능하다는 점도 매력적입니다.

 

민간인증서 단점

 

하지만 장점이 있는 만큼 단점도 있기 마련이죠. 아직 모든 곳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민간인증서가 없다는 점입니다. 인증서가 각 기관마다 제휴해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하고자 하는 사이트에 본인이 발급받은 민간인증서가 허용돼 있지 않다면 못 쓰는 것이죠. 절차가 간편한 만큼 일각에서는 보안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내고 있는데요. 이에 정부에서는 ‘전자서명인증 업무 평가 및 인정제도’를 도입해 안정성 평가를 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21년이라는 긴 기간동안 공인인증서를 사용해 온 우리에게 아직 민간인증서는 살짝 어색하기도 한데요. 도입 초기인 만큼 조금씩 개선해 나가면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일상을 선사해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음 알쓸잇(IT)슈 시간에도 유익한 정보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