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하루에 몇 잔의 물을 마시고, 몇 번의 소변을 볼까요?
우리 몸의 70%를 차지하는 물, 왜 중요하고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마시는 것이 좋을지 알려드립니다.
한국인은 만성 탈수 상태
한국인의 질병의 주원인으로 만성 탈수가 지목되기도 할 만큼 의학적으로 볼 때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만성 탈수 상태입니다. 60kg 정도의 성인인 경우 하루에 섭취해야 하는 물의 권장량은 약 2리터입니다. 순수한 물만으로 섭취하는 것이 아니라, 채소나 과일로 섭취하는 수분을 포함하는 수치이기 때문에 순수한 물을 마셔야 하는 양은 7~8잔, 1.5리터 정도를 목표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음식으로 섭취하는 수분을 포함해 한국 남성은 평균 1리터, 여성은 평균 0.8리터의 수분만을 섭취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전반적으로 한국인들은 물보다는 자극적인 맛이 들어간 음식을 선호하는 경향이 물 섭취를 방해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자신의 몸이 물을 필요로 하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소변을 볼 때 색깔을 눈여겨 보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투명하거나 노란색까지인 1~3단계는 몸 속의 수분이 적정 수준인 상태입니다. 색깔이 진해질수록 심한 탈수 상태이기 때문에 소변을 볼 때마다 나의 수분 섭취량을 확인하여 적당량의 수분을 섭취하도록 노력해 봅시다.
물을 충분히 마셨을 때의 효과
70kg의 성인 남성의 경우 몸속의 혈액의 양은 약 5L 정도입니다. 이 혈액이 몸 전체를 순환하며 산소 뿐만 아니라 단백질, 비타민 등 생존에 필요한 물질들을 온 몸에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 혈액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는 방법이 바로 물을 마시는 것입니다. 적정량의 물을 지속적으로 마신다면 우리의 몸에 어떠한 효과들이 나타날까요? 충분한 수분은 우리 몸을 순환하면서 다양한 독소 및 노폐물을 소변을 통해서 몸 밖으로 배출하여 줍니다. 신진대사를 높여 신장 결석을 예방하고, 체액 순환에도 기여해 몸의 부종을 해소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수분을 흡수하고 배출하는 데에 신체 내 열량이 소비되어 기초대사량도 증가하게 되므로 다이어트에 효과가 좋습니다. 이외에도 세포유지, 체열발산, 체액의 산성도 유지 등 물은 건강한 신체를 위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물은 어떻게 마셔야 할까요?
전문가들은 매순간 들이마시는 공기처럼 '늘 물과 함께하라'고 조언합니다. 집에서든 사무실에서든 잘 보이는 곳에 물병을 두고 수시로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생활에서 바로 실천할 수 있는 루틴을 내 삶에 적용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 아침에 잠에서 깨면 먼저 물로 두세 번 가글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밤새 자는 동안 입속에서 증식한 세균들을 어느 정도 없앨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다음 미지근한 물을 한 컵 마십니다. 이는 우리 몸의 신진대사를 활발히 해주고 체내 독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대장을 깨워주기 때문입니다. 물을 가장 많이 마실 수 있는 시간은 점심과 저녁식사 사이인데, 우리가 식사 전에 느끼는 배고픔은 실제로 수분이 부족하여 느끼는 거짓 배고픔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물을 마셔주면 우리 몸에 수분이 충전되면서 에너지가 생기고 리프레쉬가 되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다이어트를 하고자 한다면 식사 전에 물 1컵을 마셔보는 것을 추천드려요. 포만감이 들어 식사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잠자리에 들기 전에도 물 한 잔을 마심으로써 수면을 취하는 동안 손실될 수 있는 수분을 보충해주어 숙면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Attention
간경화, 신부전증, 심부전증 등의 질환을 겪는 사람은 많은 물을 마실 경우 복수, 폐부종, 전신부종 등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니 의사와 상담하여 수분 섭취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또한 일반인들도 한 번에 너무 많은 물을 섭취하게 되면 체액 전해질 균형이 깨지고 저나트륨증으로 두통, 구역질, 의식장애가 올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올 해는 건강한 물습관으로 보다 활기차고 건강한 생활이 되시길 바랍니다!
'기획 연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와 인간의 미래를 위한 플라스틱 사용법 (0) | 2023.03.30 |
---|---|
건강한 지구를 위한 기업과 개인의 가치 있는 도전 (0) | 2022.12.26 |
[Review SINAP] SINAP 제9회 선정작가, 윤두현/장서영/정희민 (0) | 2022.12.09 |